결혼하기 전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던 호칭 문제! 나와, 형제자매들이 하나둘 결혼을 하면서 점점 복잡해지기 시작합니다.
특히 여동생의 남편 호칭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. 오늘 딱 정리하고 갑시다!👍
1. 내가 언니일 경우
2. 내가 오빠일 경우
3. 내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은?
4. 내 남편의 여동생의 남편은?
1. 내가 언니일 경우
본인이 여자이고, 여동생이 결혼을 하여 남편이 생긴 경우입니다.
- 0서방
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0서방님이라고 하는 것이 원래의 호칭이나, 요즘 시대와는 맞지 않는 말이지요.
성씨를 넣어서 0서방이라고 부르되, 말투와 대하는 것에 존중이 담겨있으면 충분합니다.
- 제부
제부(弟夫)는 아우 제, 남편 부가 합쳐진 말입니다. 말 그대로 동생의 남편이라는 뜻이지요. 제부는 주로 여성이 쓰는 말입니다.
2. 내가 오빠일 경우
반대로 내가 남자라면, 내 여동생의 남편을 뭐라고 부르면 될까요?
- 0서방
남자도 마찬가지로 0서방이라고 해도 됩니다. 나보다 나이가 어리고 친근한 사이라면 이름을 부를 수도 있겠지요.
- 매부
매부(妹夫)는 손아랫누이 매, 남편 부입니다. 어린 누이의 남편이지요. 보통 나보다 나이가 많을 때 매부라고 부르는 편입니다.
가끔 편하게 매형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으나, 원칙적으로는 누나의 남편을 매형이라고 하므로 틀린 말입니다.
- 매제
매제(妹弟)는 손아랫누이 매, 아우 제입니다. 매부가 나이가 적을 때 매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0서방, 매부, 매제 모두 크게 구분 없이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내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은?
만약 내(남자) 아내의 여동생이 결혼을 하여 남편이 생긴다면 나는 그 사람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?
- 동서
저는 주로 여자들이 동서라고 하는 것을 많이 들어봐서 어색한데, 남자끼리도 동서라고 한다고 합니다.
그 뜻을 보면 알 수 있는데요. 동서란, 배우자의 형제자매로 인해 맺어진 사이를 말합니다!
남자끼리 봤을 때 자신들의 아내가 서로 자매 관계이므로 당사자들은 동서 지간이 되는 것이지요. 자매가 여럿이라면 큰동서, 작은동서 또는 지역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.
- 0서방
4. 내 남편의 여동생의 남편은?
내가 여자이고, 결혼을 하여 남편이 있습니다. 남편 여동생의 남편은 뭐라고 할까요?
- 서방님
우리나라 정식 호칭은 서방님입니다.
그런데 보통 껄끄럽기 때문에 아이들을 빌려 고모부라고 하곤 하지요. 사실 내 고모부는 아니기에 좋은 말은 아니지만, 따로 대처할 만한 게 아직 없네요.
자주 왕래하는 사이라면 서로 합의하여 적합한 호칭으로 맞추거나, 남편과 똑같이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처가, 시가 가족은 종합해서 정리해 놓은 글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처가댁 호칭 총정리! (아내의 큰아버지/조카/형제의 배우자)
결혼을 하면 가족이 더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호칭 문제가 더 복잡해집니다. 가까운 가족은 그래도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, 아내의 큰아버지는 어떻게 부를까요? 또는 아내 여동생의 배우자는
yeshinyejin.tistory.com
시댁 호칭 하나씩 짚어봐요! (남편의 형/누나/조카의 배우자)
결혼을 하면 남편의 가족이 곧 내 가족이 되지요. 저는 기억력이 좋지 않고 예비시댁 가족들이 많아서 지금부터 미리미리 숙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답니다. 예부터 내려왔던 호칭이 요즘 시대 정
yeshinyejin.tistory.com
'가족친척 깨알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복날 언제? 초복 중복 말복 날짜 (0) | 2023.07.11 |
---|---|
만나이 계산방법, 좋은 점까지 쉽게 알려드려요! (0) | 2023.06.28 |
축의금 봉투 쓰는 방법! (한자/한글/이름 위치 등) (0) | 2023.06.14 |
결혼 축하 메세지 상황별(깔끔/재미/감동) 추천드려요! (4) | 2023.06.09 |
불혹, 지천명, 고희 뜻과 각각의 나이 (1) | 2023.06.02 |
댓글